이혼 후 연말정산, 인적공제 어떻게 해야 할까?

이혼 후 연말정산에서 인적공제와 관련된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녀 및 배우자와 관련된 공제 문제는 헷갈리기 쉽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혼한 경우 인적공제 요령과 주의사항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혼 후 연말정산이 궁금하셨던 분들은 끝까지 읽어주세요! 

1. 이혼한 배우자에 대한 인적공제 가능할까?

이혼한 경우, 배우자를 위한 공제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혼 후 배우자 공제

소득세법에 따르면 인적공제 대상 배우자 여부는 과세기간 종료일(12월 31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따라서 과세연도 중간에 이혼을 했다면, 이혼한 배우자에 대해서는 인적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예외: 이혼 전 배우자를 위한 지출

이혼 전에 배우자를 위해 사용한 비용은 공제가 가능합니다.

  • 공제 가능한 항목
    • 보험료
    • 의료비
    • 교육비

2. 장인·장모를 부양한 경우

이혼 전, 배우자의 부모(장인·장모)를 부양하면서 인적공제를 받은 경우도 이혼 이후에는 해당 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부양가족 공제는 더 이상 적용되지 않으니 참고하세요.

3. 자녀와 관련된 공제는?

 친권이 없는 경우에도 자녀공제 가능

이혼 후 친권이 없거나 동거하지 않는 자녀라 하더라도, 실제로 부양하고 있다면 부양가족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 중복공제는 불가

부모가 협의하여 한쪽만 공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만약 중복 신청하면 국세청의 심사 과정에서 조정됩니다.

4. 이혼 전 지출한 비용 공제

이혼 전, 기본공제 대상자를 위해 사용한 비용은 공제 가능합니다.

  • 공제 가능한 항목
    • 자녀의 보험료
    • 자녀의 의료비
    • 자녀의 교육비

이혼 후에도 과세연도 내 발생한 지출이라면 해당 항목은 근로소득에서 공제가 적용됩니다.

이혼 후 연말정산 시 주의사항

1️⃣ 부양가족 공제 신청 시 사전 협의 필수

  • 자녀가 공제 대상이라면, 전 배우자와 협의하여 한쪽만 공제 신청하세요.
  • 협의 없이 중복 신청하면 국세청의 조정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2️⃣ 지출 내역 명확히 정리

  • 이혼 전 지출한 보험료, 교육비, 의료비를 잘 정리해 두세요.
  • 관련 증빙자료(영수증, 세금계산서 등)를 반드시 보관하세요.

3️⃣ 전문가 상담 추천

  • 상황이 복잡하거나 서류 준비가 어려운 경우, 세무 전문가의 상담을 받으세요.
  • 세무 상담을 통해 놓치는 공제 항목 없이 정확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혼은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지만, 연말정산과 같은 세무 문제는 여전히 꼼꼼히 챙겨야 할 일이 많습니다. 오늘 소개한 내용을 참고해 인적공제를 잘 정리하시고, 불필요한 세금 부담 없이 효율적으로 신고하세요!

가정폭력을 당했을 때 제일 먼저 해야하는 것

 

가정폭력을 당했을 때 제일 먼저 해야하는 것

가정폭력은 이혼 사유 중에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사유인데요. 최근에 이런 폭력 사태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이제 코로나로 인해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집안

nid-i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