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음발성을 찾을 수 있는 효과적인 팁과 연습방법으로 테이의 같은 베개라는 노래를 노래하기 편한 발음으로 쪼개고 순화한 소리로 부르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책읽듯이 발음하는 것은 노래발성에 적절하지 않다 ▶︎ 노래를 부를 때, 책을 읽듯이 가사를 또박또박 부르게 되면 노래에 음을 맞춰 부르는 노래에 적절한 발성으로 부르기 쉽지 않습니다. 때문에 발음을 부르기 쉬운 형태로 쪼개고 순화하여 부르는 방식으로 연습하여 완전히 몸에 베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처음에는 가사의 뜻을 생각하기보다는 단순히 내가 쪼개고 순화한 발음을 소리만 내고 음에 맞춘다는 개념으로 접근하면 놀라운 발성적 성과와 느낌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테이 - 같은베개' 가사를 이용한 발음 순화 예시 테이의 같..
인터넷을 뒤져보면 참 많은 발성에 대한 팁들이 있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런 글들에서 잘 찾을 수 없는 방법적인 고음팁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입모양에 대한 고찰여러 가지 발성이론에 의하면 노래 부를 때 입모양에 대해 의견들이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깊이 들어가면 다들 이론에 따라 하는 이야기들이 다릅니다. 간단하게 정리해 보죠1) 입을 크게 벌리라는 방법론가장 통상적으로 통용되는 발성적 이론에서는 발음을 보다 명료하게 하고 안에 있는 소리를 밖으로 끄집어내기 위해 입을 될 수 있으면 크게 벌려라. 혹은 턱을 떨어뜨려라. 최소한 손가락 두 개는 들어갈 정도로 구강을 벌려야 한다라는 이론이 있습니다. 재밌는 것은 여기서 또 두 가지로 나뉘죠.① 입을 가로로 찢어서 벌려라입을 가로로 벌려서 웃는 ..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이브레이션 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가수들과 일반인들이 노래를 불렀을 때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노래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일반적인 사람의 기준으로 봤을 때, 가수랑 일반인의 노래가 뭐가 가장 다른지 물어본다면 바로 바이브레이션이라고 대답하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심지어 지금보다 예전에 인터넷이 별로 보급되지 않았던 시기만 하더라도 일반인들끼리 노래방에서 노래를 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중에서 바이브레이션의 유무가 판가름했을 때도 있었습니다. 아무리 노래를 음정 박자 맞춰서 멋있게 불러도 같은 노래라면 바이브레이션을 멋들어지게 해주는 쪽을 사람들은 노래를 더 잘한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지금은 유튜브가 활성화되고 노래 잘 부르는 일반인도 많아지..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성을 내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성은 원래 목소리가 건강하다면 당연히 나와야 하는 소리입니다. 우리의 목소리는 진성과 가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가성이 잘 안 나오시거나 나오지 않는 분들을 보면 진성 자체도 소리가 문제가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우리의 목소리가 건강하고 세팅값이 제대로 설정이 되어있다면 진성과 가성은 항상 하나처럼 움직입니다. 즉, 내가 진성을 내면서도 언제든지 소리를 뒤집는다고 마음만 먹으면 바로 가성을 낼 수 있는 상태가 돼야 하는 것이 건강한 성대와 발성을 가진 상태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가성으로 전환이 안되거나 소리가 막히거나 쉰소리가 난다면, 이는 내 성대 상태와 발성 상태가 올바른 세팅값에서 벗어났다는 의미입니다. ✅ 가성이 안 나오는..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2년 10월 TJ미디어 기준으로 노래방에서 가장 인기 있는 노래 10가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위 ) 주호 - 내가 아니라도 잘 모르는 노래였는데, 이번에 들어보니까 노래가 참 서정적이고 좋네요. 게다가 적절한 고음 파트까지 있어서 노래방에서 가창력을 뽐내기 좋은 곡인 것 같습니다. 2위) 버즈 - 모놀로그 정말 나온지 오래된 노래인데 아직도 노래방 인기곡 최상위권이라는 게 놀랍네요. 아마 최근에 다른 가수분들이 모놀로그를 부른 것이 인기를 얻어서 노래방에서 다시 부활한 것 같습니다. 언제 들어도 명곡이지요. 3위) 아이브 - after LIKE 10대 아이들의 취향을 반영해주는 트랜디한 곡이군요. 아이브는 10대 여자아이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그룹으로 알고 있는데 노..
지금부터 제가 하려는 이야기는 발성학이나 이런 거 전부 깡그리 무시합니다. 완전히 제 주관에 입각한 웃기는 이야기니까, 가볍게 들어주세요. 발성적 메커니즘이나, 성대근육이니 뭐니 그런 거 유튜브에 보면 무지하게 많습니다. 제대로 공부하고 싶으시면 그거 보시면 됩니다. 이제 시작합니다. 1. 고음의 느낌 고음의 느낌, 고음을 낸다라는 것은 그 느낌을 설명하는게 진짜 너무나 주관적입니다. 솔직히 말해서 아예 고음 감각이 없는 사람에게 고음의 느낌을 설명하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워요. 찬 물을 보면서 저 물을 마시면 목구멍이 시원하고 얼얼하면서도 시원하다고 백날 설명해도 본인이 직접 찬물을 마셔서 그 느낌을 체험하는 것을 이길 수는 없습니다. 그렇지만 제가 한번 불가능에 한번 도전해보겠습니다. 2. 비강과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