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 내 삽관술 정의와 원리 :: 위험요소 및 합병증

생명이 위급한 순간, 환자의 생사를 가르는 결정적인 의료 시술인 기관 내 삽관술. 이는 단순한 의료 절차를 넘어서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고 생명을 구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응급실과 중환자실, 수술실에서 매일 시행되는 기관 내 삽관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기관 내 삽관술 정의와 원리

기관 내 삽관술(Endotracheal Intubation)은 성문을 통해 기관지 내로 튜브를 삽입하여 인공적인 기도를 확보하는 침습적 의료 시술입니다. 이 시술은 환자의 자연스러운 호흡 경로를 우회하여 직접적인 기도 접근을 가능하게 합니다.

삽관술의 목적
• 확실한 기도 확보를 통한 산소 공급
• 기계적 환기(인공호흡기) 연결
• 위 내용물 흡인 방지
• 기도를 통한 응급 약물 투여 경로 확보
• 기관지 분비물 제거 및 흡인

삽관이 필요한 응급 상황

• 심폐소생술이 진행 중인 심정지 환자
•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RDS)
• 중증 폐렴으로 인한 호흡부전
• 급성 천식 발작으로 인한 호흡 마비
• 약물 중독으로 인한 의식 저하

합병증과 위험 요소

즉시 발생 가능한 합병증

식도 삽관: 튜브가 기관 대신 식도로 들어가는 경우
일측 기관지 삽관: 튜브가 한쪽 기관지로만 들어가는 경우
기흉: 과도한 압력으로 인한 폐 손상
흡인: 위 내용물이 폐로 들어가는 경우
심혈관계 합병증: 저혈압, 부정맥, 심정지

지연성 합병증

장기간의 삽관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성대 손상, 기관 협착, 인후두 부종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튜브 크기 선택과 정기적인 상태 점검이 필요합니다.

최신 기술과 발전 동향

비디오 후두경의 활용

최근에는 기존의 직접 후두경 대신 비디오 후두경을 사용하여 더 명확한 시야 확보와 높은 성공률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이는 특히 어려운 기도 상황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초음파 유도 삽관

초음파를 이용한 기도 평가와 삽관 유도 기술이 발전하면서, 더욱 안전하고 정확한 시술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기관 내 삽관술은 생명을 구하는 핵심 의료 기술이지만, 동시에 여러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고난도 시술입니다. 숙련된 의료진에 의한 정확한 시술과 세심한 사후 관리가 환자의 안전과 치료 성공을 좌우하는 결정적 요소입니다.